if (study)/잡다구리


설명은 쉬울수록 어렵다 내 친한 친구가 얼마 전부터 퍼블리싱 공부를 시작했다. 컴퓨터나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다. 나도 웹 개발을 잘하진 못해도 아예 모르지는 않으니 친구에게 HTML, CSS, JS 관련하여 종종 질문을 받곤 했다. 그때마다 내가 참 설명을 못하는 것 같아서 나 자신에게 답답함을 느끼는 순간이 여럿 있었다. 개구리 올챙이적 기억 못 한다고, 나한테도 분명 모든것이 당연하지 않았던 순간이 있었을 텐데...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 금새 잊어버린다. 지금의 나한테는 당연한 사실이 다른 사람에겐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머릿속에 전제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쉽게 설명하는 것은 대단한 능력이다. 설명은 (듣는 사람에게) 쉬울수록 (설명하는 사람한테) 어렵다. 제가 개발자가 아니라 생각하고 d..


GitHub에 올려둔 프로젝트와 SonarCloud를 연결해서 소스코드 정적 분석을 해보자. 정적 분석은 소스 코드 품질을 높이기 위해 잠재적인 버그나, 코딩 컨벤션에 어긋나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정적 분석 툴은 SonarQube다. SonarQube는 사용하려면 직접 웹서버에 세팅을 해서 돌려야 하는데, 동일 개발사에서 만든 SonarCloud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개인 서버를 준비하는 것보다 훨씬 편리하게 정적 분석을 해볼 수 있다. SonarCloud와 GitHub 연결하기 먼저 링크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하자. https://sonarcloud.io/ 로그인을 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한다. 처음으로 사용해보는 거라면 Import projects from ..